[인사이트] 올림픽선수촌(Olympic Village) 여성 선수 입촌 금지하기도 했다

1924년 파리하계올림픽의 선수촌 전경

올림픽선수촌 Olympic Village 의 역사와 경과

오늘(2월 4일) 2022베이징동계올림픽이 개막한다. 중국 당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위구르 민족 인권침해와 홍콩 민주화 운동 탄압 등에 대하여 국제 인권단체가 올림픽 개최 반대운동을 펼치고 이와 관련하여 일부 국가들이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탓에 여느 올림픽과 같은 축제 분위기를 느끼지 못한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지난 도쿄하계올림픽과 같이 참가 선수들의 일상 생활 범위가 최소한으로 제한돼 세계 각국에서 온 선수들이 거주하는 올림픽 선수촌(olympic village)은 '감옥'과 같은 환경에 놓여있다고 볼 정도다. 


올림픽에서 선수촌은 필수 요소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올림픽 헌장은 제38조에서 '선수촌' 조항을 두고 있다. 올림픽조직위원회(OCOG)는 각국 선수단이 한 곳에 거주할 수 있는 선수촌을 마련하여 각국 선수단에게 제공해야 하고 이와 관련한 숙식 및 교통 등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선수촌은 IOC 집행위원회가 설정한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올림픽 선수촌 운영은 올림픽 필수 요소 개최도시 비용 부담

선수촌 운영에 관한 조건은 IOC와 올림픽주최 도시 측 간 체결되는 개최도시 협약(Host-City-Contract) 부속 운용조건(Operational Requirements)에서 별도로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다. 2018년 6월자 운용조건은 선수촌 수용규모(하계올림픽 16,000명, 동계올림픽 4,900명, 하계패럴림픽 8,000명, 동계패럴림픽 2,200명), 운용기간(개막식 하계올림픽 16일 전, 동계올림픽 10일 전부터 폐막식 3일후까지) 등 기본 사항에서부터 아래와 같이 숙식 환경 등 세부적인 조건을 정하고 있다.

Olympic and Paralympic Villages services and spaces 규정 중 일부

1924 파리올림픽 처음 선수촌 운영, 목재 오두막 숙소 건물

이러한 선수촌이 근대올림픽에서 마련되고 운영되기 시작한 것은 1924년 파리하계올림픽에서다. 1896년 제1회 아테네올림픽에서 1920년 제7회 안트베르펜올림픽까지는 선수촌이 운영되지 않았고 각국 선수단은 호텔, 군대 숙소 등에서 일반인들과 함께 거주하기도 하고 선박에서 지내기도 하였다. 1924년 올림픽 때부터 적용되는 'The General Technical Rules'에 조직위원회가 선수에게 숙식 등을 제공하여야 한다(“The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is required to provide the athletes with accommodation, bedding and food, at a fixed rate which shall be set beforehand per person and per day")고 함에 따라서 파리하계올림픽조직위가 선수단 숙소를 마련하게 되었다.  

1924 파리올림픽 선수촌 모습. 출처 www.olympic.org/studies

파리올림픽조직위는 목재로 만든 오두막을 임시로 만들어 선수단에게 숙소를 제공했다. 1동의 오두막당 3명 수용 규모로 이루어진 오두막 선수촌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보증금을 지불하고 예약을 해야 했다. 그런데 모든 나라 선수단이 선수촌을 이용하지는 못했다. 파리올림픽조직위가 선수촌 명칭을 'Olympic Village'로 했는데 그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936 베를린 올림픽 선수촌 건물 유지 사후 활용 시작

1936년 제11회 베를린 하계올림픽은 선수촌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그 전까지 선수촌 숙소 건물은 임시용이었으나 베를린 올림픽 조직위 측은 처음으로 올림픽 후 군인 숙소로 활용할 계획 하에 선수촌 숙소 건물을 지었다. 올림픽 종료 후 1945년까지 독일군 숙소로 사용되고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1949년까지는 독일 피난민 숙소로 사용됐다. 1991년까지는 베를린 주둔 소련군 숙소로도 사용된 선수촌 건물은 독일 통일후 박물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1936 베를린올림픽 선수촌 숙소 건물. 출처 www.olympic.org/studies

1952 오슬로올림픽 동계올림픽 첫 선수촌 운영

동계올림픽에서는 1952년 제6회 오슬로 올림픽이 선수촌을 운영한 것을 빼곤 1924년 제1회 프랑스 샤모니몽블랑 올림픽에서부터 1956년 제7회 이태리 코르티나 올림픽까지 선수촌이 운영되지 않았다. 오슬로 올림픽 조직위원회 측은 오슬로 시내 3곳에 아파트형 건물을 지어 올림픽 기간 선수촌 건물로 사용하고 올림픽 후에는 대학생 기숙사 및 노인 주거 아파트로 활용했다.

1952 오슬로동계올림픽 선수촌 건물. 출처 www.olympic.org/studies

1984 LA하계올림픽 처음 남여 선수 선수촌 동일 건물 거주 허용

올림픽 선수촌 운영은 그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예가 여성 선수의 입촌이었다. 1950년대까지 여성 선수는 선수촌 입주가 허용되지 않았고 여성 선수에 대해서는 별도로 외부의 숙소를 마련해 제공했다. 1956년 제16회 호주 멜버른하계올림픽에서부터 선수촌 여성 선수 입주가 허용되었는데 성분리(gender separation) 정책에 따라서 여성 선수만이 거주하는 숙소를 따로 마련하고 남성 선수는 여성 선수 입주 건물에 출입이 금지됐다. 이러한 남여 분리정책은 1980년대까지 지속되다가 1984년 제23회 LA하계올림픽에서 성 기준이 아닌 선수단(팀) 기준으로 건물 배정이 이뤄지면서 폐지됐다.

올림픽 선수촌은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서 그 규모가 커지고 시설과 제공 서비스의 수준이 높아졌다. 아래 선수촌 사진들을 보면 시대적 변화상을 느낄 수 있다. 사진의 출처는 가제트 타임즈 Gazette Times의 The athlete's villages of modern Olympics look a bit different than those of decades past 이다. 선수촌에 관한 더 많은 사진을 보고 싶으면 위 기사를 클릭하면 된다.

1932 LA하계올림픽 선수촌 전경


1956 멜버른하계올림픽 선수촌 전경




1960 로마하계올림픽 선수촌 전경



1968 멕시코시티하계올림픽 선수촌 전경



1972 뮌헨하계올림픽 선수촌 전경



1976 몬트리올 하계올림픽 선수촌 전경



1980 모스크바 하계올림픽 선수촌 전경



1988 서울 하계올림픽 선수촌과 올림픽공원 전경



2016 리오 하계올림픽 선수촌 전경




댓글

인기 글

이용 안내(법적 면책 및 저작권 주의 고지)

이 사이트에 실린 내용은 LAW&S에 대한 정보 제공과 어느 사안이나 이슈에 대한 대표 변호사의 의견 또는 주장을 제시할 목적으로 제공한 것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의견이나 주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결과에 대해서도 아무런 법적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저희의 의견이나 주장과 관련한 사안이나 사건에서 어떠한 법적 해결을 원하시면 저희에게 법률적 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이 사이트에 실린 저작물의 무단 전재나 복제를 금지하니 사전 승인을 얻어 이용하시기 바랍니다.